목록others/server (3)
DEVLOG
[리눅스 커맨드] $ ls 현재 디렉토리 파일,폴더 리스트 출력 $ ls-l 현재 디렉토리 파일, 폴더 리스트 자세한 출력 $ pwd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 경로 $ cd a a디렉토리로 이동 $ mv a b a경로에 있는 파일,폴더를 b경로로 이동 $ cp a b a경로에 있는 파일,폴더를 b경로로 복사 $ chmod 0000 a a경로에 있는 파일의 권한을 수정 (0000 > drwx) $ vi a a라는 파일을 vi에디터로 열기(없으면 생성) [vi 에디터 단축키] x : 한글자씩 삭제 dd : 한줄씩 삭제 shift+G : 제일 마지막 줄로 이동 gg : 제일 윗 줄로 이동 shift + $ : 현재 줄의 제일 뒤로 이동 shift + ^ : 현재 줄의 제일 앞으로 이동
SCP(SecureCopy) ssh 원격 접속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SecureCopy(scp)의 약자로서 원격지에 있는 파일과 디렉터리를 보내거나 가져올 때 사용하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이다.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는 환경에서 ssh와 동일한 22번 포트와 identity file을 사용해서 파일을 송수신하기 때문에 보안적으로도 안정된 프로토콜이다. 모든 경로에서 앞에 ~/를 붙이면 루트폴더로 이동 서버위치 예시 ims-dev:~/script 로컬위치 예시 ~/Downloads scp명령어는 업로드, 다운로드 모두 로컬에서 실행 파일업로드 (로컬서버 -> 원격서버) 1. 한개의 파일을 업로드할때 scp [전송할파일로컬위치] [저장할서버위치] EX) scp ~/Downloads/data.xlsx ims-..
SSH(Secure Shell) ssh는 원격지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뜻 그대로 보안 셸이다. 셸로 원격 접속을 하는 것이므로 기본적으로 CLI 상에서 작업을 하게 된다. 기본 포트는 22번이다. telnet + 암호화 = ssh? 기존의 유닉스 시스템 셸에 원격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던 텔넷(telnet)은 암호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계정 정보가 탈취될 위험이 높으므로, 여기에 암호화 기능을 추가하여 1995년에 나온 프로토콜이다. (SSH는 암호화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통신이 노출된다고 하더라도 이해할 수 없는 암호화된 문자로 보인다.) 원격서버에 접속할때 비밀번호 대신 key를 제출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이는 비밀번호보다 높은 수준의 보안요건을 필요로 할때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