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frontend/react (25)
DEVLOG
npm run build 위와 같은 명령어로 build하게 되면 기존에는 없던 build폴더가 생성이 된다... 기존 프로젝트 자체를 다 ftp에 업로드하면 어마어마한 양이라 오래걸리고 서버가 꽉차게 되는데 이렇게 build파일만 업로드하면 용량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기본으로 생성되는 index.html경로때문에 최상단폴더인 html폴더에 세팅해야하는데 그러면 여러개의 프로젝트를 관리하기 힘들기 때문에 index.html 파일을 조금 수정해주기로 한다. react_todo-list같이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build폴더 안에 있는 파일들을 전부 업로드한다. 그리고 index.html에 ="/로 되어있어서 루트폴더를 찾아가는 경로를 ="./로 바꿔서 다시 업로드해주면 끝!
velog.io/@sdc337dc/0.%ED%81%B4%EB%9E%98%EC%8A%A4%ED%98%95-%EC%BB%B4%ED%8F%AC%EB%84%8C%ED%8A%B8 클래스형과 함수형 차이 클래스형 컴포넌트react 컴포넌트 선언하는 두가지 방식 중 하나. 클래스 컴포넌트 & 함수 컴포넌트현재 자주 사용하지 않지만, 사용하는 기업들이 있다. 그 프로젝트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클 velog.io 클래스형 컴포넌트 //클래스형 컴포넌트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class Hello extends React.Component { render() { return ( Hello {this.props.name} ); } } export default Hello;..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velopert.com/3638 기존 배열 데이터를 건드리지 않으면서 데이터를 제거하는 법 arr배열에서 3을 제거해보자! 1. slice + concat array.slice(0,2).concat(array.slice(3,5)) // [1, 2, 4, 5] 왼쪽두개와 오른쪽 두개를 slice로 잘라낸 뒤 concat으로 합치기 [ ...array.slice(0,2), ...array.slice(3,5) ]; 배열 전개 연산자로 구현한 코드 2. filter array.filter(num => num !== 3); // [1, 2, 4, 5]